비교연구방법론(4) (6) 비교방법의 제약과 한계 Constraints and limitations of the comparative method 우리가 모은 사례들을 위해 타당하고valid 신뢰할수 있는reliable 자료를 모으는 것은 때로 겁먹을 만한daunting 일이 된다. 우리는 개념적 확대conceptual stretching와 비교를 위해 우리가 맞는지 볼 모든 사건을 가로지르는 타당하고 신뢰할 .. 학업/정치학 2011.03.21
비교연구방법론(3) (4) 비교의 논리와 이론 발전 The logic of comparison and theory development 가장 다른 시스템 디자인(MDSD)와 가장 유사한 시스템 디자인(MSSD)가 기본 연구 디자인이다. 가. 경험적 변화 Experimental variance RQ의 의존변수Y의 관찰된 변화에 있어 독립변수X의 기능function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이 지점은 RD에 포함되어 .. 학업/정치학 2011.03.16
비교연구방법론(2) (3) 사례 선택 Case selection 가. 사례 cases 필자는 분석에 있어 어떠한 체계의 종류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 방법에 있어서의 '사례'의 용어에 대해 유보reserve하고자 한다. 더욱이 필자는 조사 아래 변수variable의 가치 혹은 지수score로서 관찰과 관련짓고자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관계는 '많.. 학업/정치학 2011.03.15
비교연구방법론(1) 이하의 내용은 Hans Keman,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pp.64-80에서 발췌함. 1. 들어가며 그 방법은 비교의 '기술'이다. 즉, 무엇(what), 언제(when), 그리고 어떻게(how) 이러한 체계나 체계의 부분들을 비교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요약하자면, 이론과 연구 설계(research design)는 비교정치에 있어 매우 상호연결되어.. 학업/정치학 2011.03.14
비교정치 이론의 대체적 시각 : 5개의 I(2) (4) 개인(individuals) 개인 수준에 대한 많은 설명은 정치적 엘리트와 정치적 과정에 있어 그들의 역할에 집중했다. 많은 수의 심리학적(psychological) 연구가 있었는데, 그 연구들 중 대부분은 인격의 병리학적 부분에 집중해 왔고, 또한 엘리트에게 아첨하는 것에 대해 생각된 것 보다 덜한 경향이 있었다.(M.. 학업/정치학 2011.03.14
비교정치 이론의 대체적 시각 : 5개의 I(1) 당분간 제시될 논의는 B. Guy Peters, "Approaches in comparative politics"에서 발췌(원문 출처를 모르겠음) 저자는 5 I로서 기관(Institution), 이익(Interests), 사상(Ideas), 개인(Individuals), 국제환경(International Environment)를 제시한다. 그 중 기관과 이익에 대해서는 전에 게시한 게시물에 언급되어 있다.(곧 제대로 발췌 예.. 학업/정치학 2011.03.12
비교정치 이론의 부류 비교정치 이론은 그 적용범위에 따라 중범위(Mid-range)이론과 거대이론(Grand theory)로 나누니다. 중범위 이론은 제한적인 것에 대한 설명을 말하는 반면에, 거대이론은 총체적인 것에 대한 설명을 한다. 거대이론의 대표적인 사례가 체계이론이다. David Easton에 의해 만들어진 이 이론은 Political System in Polit.. 학업/정치학 2011.03.12
비교에 있어 이론의 사용 : 비교정치의 제이론 비교정치에서 이론은 실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How and Why reality works)를 수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론은 실재와 상호구성적이다. 실증주의(Positivism)는 가치와 사실의 문제를 엄격하게 구분(M. Weber)하는 경향이다. 사실의 객관성을 전제로 하여, 자연과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한다. 또한 인간의.. 학업/정치학 2011.03.12
비교정치란 무엇인가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는 애초 비교정부론(Comparative Government)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접어들면서 정부=정치의 등식이 깨어지고, 정부 이외의 비공식적 정치주체(NGO등의)가 등장하면서 비교정치론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된것이다. 비교정치의 정의에 대해서 전통적인 해석은 타국의 정치.. 학업/정치학 2011.03.12